백제 무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왕(武王, 580년 ~ 641년, 재위 600년 ~ 641년)은 백제의 제30대 군주이다. 휘는 장(璋)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혜왕의 아들 혹은 법왕의 아들이라고 한지만, 삼국유사의 무왕열전에 의하면 무왕이 강가에 사는 미혼모의 자식이라고 하였다. 무왕의 어머니는 강가에 사는 남편 없는 과부였는데, 어느날 강에서 검은 용이 나타나 통정해서 아들을 낳았다. 그 아들이 자라서 재주가 뛰어나고 용기가 있었는데, 그가 왕위에 올라 무왕이라 했다. 한편, 전라북도 익산에는 무왕이 연못에서 사는 용의 아들이라는 탄생 설화도 전해 내려온다. 무왕은 신라의 진평왕의 넷째 딸인 선화공주의 남편이자 백제의 마지막 군주인 의자왕의 아버지이다.
위진남북조시대 때 북제의 역사를 기록한 《북제》라는 역사책에서 "백제 위덕왕의 아들 무왕이 사신을 보냈다."고 적혀있는 것으로 보아 위덕왕의 아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무왕이 어렸을 때에 선화공주가 예쁘다는 소문을 듣고, 중의 모습으로 변장하고 서라벌(지금의 경주)로 갔다. 서라벌의 아이들에게 선심을 쓰고, 선화공주가 ‘맛둥서방’과 몰래 사귄다는 '서동요'라는 노래를 전해줬다. 이 노래로 선화공주는 신라 왕실에서 쫓겨났고, 선화공주와 서동이 만나게 되었다고 한다.
무왕 시대 때 신라와 백제가 서로 대립하고 있었고, 중국에서는 수나라의 황제 양광이 흥분한 농민군에게 살해당해 수나라가 망하고, 고조가 세운 당나라가 등장하게 되었다.
무왕은 수나라와 외교관계를 맺었고, 훗날 당나라와 외교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당나라 때는 당나라가 신라와 친선을 맺으면서 관계가 나빠졌다. 그는 신라의 대야성을 비롯한 여러 성들을 공격했다. 불교를 숭상하여 금마저(익산)에 미륵사지를 건설했다. 왕권 강화에도 힘써 궁궐을 수리하여 아름답게 만들었다. 그러나 무리한 전쟁 탓에 경제가 어려워지고 말년에 궁궐을 화려하게 만들고 호수를 만들어 사치스럽게 보낸 것은 비판받아야 할 것이다.
[편집] 바깥고리
전 임 법왕 |
제30대 백제왕 600년 - 641년 |
후 임 의자왕 |
백제의 역대 국왕 |
---|
백제: 온조왕 | 다루왕 | 기루왕 | 개루왕 | 초고왕 | 구수왕 | 사반왕 | 고이왕 | 책계왕 | 분서왕 | 비류왕 | 계왕 | 근초고왕 | 근구수왕 | 침류왕 | 진사왕 | 아신왕 | 전지왕 | 구이신왕 | 비유왕 | 개로왕 | 문주왕 | 삼근왕 | 동성왕 | 무령왕 | 성왕 | 위덕왕 | 혜왕 | 법왕 | 무왕 | 의자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