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 소수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동소수점 방식은 컴퓨터에서 실수를 소수 근사값으로 표현하는 방법의 하나로, 숫자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의 크기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다. 이것은 일정 부분이 정수, 일정 부분이 소수를 의미하는 고정소수점 방식과 대비된다.
고정소수점 방식에 비해 계산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부동 소수점 장치가 CPU에, 혹은 별도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편집] 부동 소수점 수의 구조
부동 소수점 수 표현 방법은 예를 들어 SI 단위계 에서 킬로는 103, 센티는 10-2 을 표현하는 것과 비슷하다. 단 부동 소수점 수에서는 다음의 3개의 데이터로 수치를 표현한다.
- 부호부 (1비트)
- 가수부 (부호 없는 정수)
- 지수부 (부호 정수)
부동 소수점수에서는 값의 절대치는 (가수부)×(기수)(지수부)가 된다. 예를 들어, 0.5를, 기수가 10인 부동 소수점 수로 나타내면 0.05×101 = 0.05 e+1 가, 기수가 2인 경우는 0.25×21가 된다.
가수부에 할당할 수 있는 비트수를 n로 하면, 유효 자리수는 2진수로 n+1이 된다. 이는 최상위의 자리수는 반드시 1로 정의하므로 표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0을 나타내는 경우는 부호부, 가수부, 지수부의 모든 비트를 0으로 하는 것으로 정의한다.